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articleId=1963871&bbsId=D115&pageIndex=1
총16명의 '公安사건-利敵단체' 활동가 國會 진출 |
한국 사회를 장악한 주사파 조직
1. 통일혁명당(통혁당) 사건 연루자: 한명숙(민통당) [자료] 한국 사회 곳곳에 숨어든 主思派 조직
1. 북한은 1970년대 이후 국내 좌경운동세력을 북한추종 세력으로 활용하는데 對南공작의 중점을 두면서 主思派가 생성되었다.
2. 북한은 60년대 말까지는 對南공작원의 직접침투를 통한 요인테러 등을 對南공작의 기조로 삼았으나 70년대 이후 國內 좌경세력의 포섭 활용이라는 간접 방식으로 전술변화를 꾀했다.
3. 북한의 이 같은 對南전술 변화는 70년 6월 <통혁당 방송>, 85년 <구국의 소리> 방송(現 반제민전) 창설로 이어졌으며 북한 방송청취를 통해 85년 10월 서울대 등 학생 운동권에서 主思派의 실체가 형성되었다.
4. 主思派는 86년 구학연, 88년 反美청년회 등의 핵심조직을 통해 학생 운동권을 장악했으며 재야노동운동권 출판계 등 사회각계각층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5. 86년 구학연 산하 공개조직인 자민투의 등장과 함께 主思派가 공개적인 활동에 나섰으며 그 후 主思派는 88년 서총련과 전대협, 93년 한총련 결성을 배후조종하고 이들 공개조직의 주요간부직을 장악했다.
6. 1994년도 4년제 대학 총학생회장 선거(총 131개 대학)에서 主思派인 NL(민족해방)계열 64명, PD(민중민주)계열 22명이 당선했고, 한총련 소속 198개 대학 총학생회 중 50%정도가 主思派에 의해 장악됐다.
7. 국내 主思派는 북한방송청취를 통한 공개적 방법, 베를린의 범청학련, 일본의 범민련 해외본부 등에서 전화와 팩스를 이용한 半공개적방법, 북한과 직접 연계돼있는 간첩과 지하당조직을 통한 非공개적방법 등을 통해 북한으로부터 투쟁지침을 전달받고 있다.
8. 1994년 들어 검찰 경찰 안기부 등 대공수사기관에서 7개의 主思派 관련조직을 적발, 모두 120명을 구속했으며 학생 운동권에서는 전남대 김일성 분향소설치사건 9명, 남총련 투신극사건 7명, 한총련 2기출범식 관련 39명, 김일성주의청년동맹사건 10명, 주체사상연구회사건 3명 등 68명이 구속된 것으로 집계됐다. 노동계에서는 영남지역 일심단결사건 6명, 인천 부천 민주노동자회사건 12명 등 18명, 재야에서는 구국전위사건 23명, 서민관련사건 11명 등 34명이 구속됐다. |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골라보세요 (0) | 2014.08.23 |
---|---|
[스크랩] 탈북자 수기 (나의 탈북스토리 - 장진성) (0) | 2014.08.23 |
[스크랩] 이글 퍼뜨려 주십시오!!!꼭 읽고 보아야 할글 - (0) | 2014.08.23 |
[스크랩] 내겐넘 착한남편~ (0) | 2014.08.23 |
[스크랩] 독도는 조선의 영토이다. (0) | 2014.08.23 |